전체 글 107

찐 교육과정 준비 워크샵(2,3일차) 교장 교감샘 조식!!

2일차 8:00 1차 떡만둣국 제공8:30 2차 떡만둣국 제공교장 교감선생님이 아침을 준비해주셨다. 원래 8:30부터였는데 7시 전에 나와서 준비하시면서 너무 빨리 되어서 30분 당겨진 것. 남자교장샘의 살림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여자교감선생님도 한 요리 하시는 듯하다. 전입오신 영양사샘도 도우시고 한 두 분 더 오셔서 도우셨다.  교장교감샘이 준비해주신 아침식사를 먹을 수 있다니. 그것도 직접 정성스럽게 담아주시고 김가루까지 뿌려주셨다. 진심이 팍팍 느껴지고 맛도 좋았다. 역시 먹여야 한다. 먹은 놈이 물킨다는 옛말. ㅎㅎ 조심하자. 음식에 넘어가서 다 예스 하지 말자!!!! 정신 차려!  9:00 담소 및 워크샵 준비편하게 이야기 나누는 시간들~ 이런 시간이 진짜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이지. 10:0..

학교이야기 2025.02.24

찐 교육과정 준비 워크샵(1일차)

근처 다른 학교로 이동하게 되었다. 운좋게 1지망인 학교로 가게 되어 뻤다.혁신초등학교로 유명한 학교이다. 그냥 별 교장샘 좋으시다고 해서 갔다. 2월 19-21일 2박 3일로 학생야영장에서 교육과정 워크샵을 한다고 했다. 집이랑 가까워서 다들 밤에 가는 분위기면 나오려고 생각했다. 사실 동료들과 잠까지... 요즘 분위기랑은 좀 안 맞지 않은가. 요즘 박으로 교직원들끼리 워크샵하는 학교는 거의 없다.  9-10시 등록 및 담소.10시까지 여유 있게 가도 된다는 뜻? 강당에 가니 따뜻한 인사가 오고간다. 간식이 왔다고 하니 몇이 나가서 잔뜩 들고 오고 다른 몇이 간식을 풀고 정리한다. 양이 어마어마하다. 페트병에 든 물도 잔뜩. 그건 좀 아쉬웠다. 텀블러 가져오라고 해놓고 마음이 안 놓였나보다. 정수기 쓰..

학교이야기 2025.02.23

전화하고 싶은 친구

오랜만에 한 친구랑 통화를 했다. 이 친구와는 정말 참다가 참다가 전화를 한다. 가족도 있고 동생도 많고 모임도 많아서 나까지 시간을 뺏으면 안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가하고 별일없이 지내는 내가 가끔 너무 힘들어서 속을 터놓고 싶거나, 너무 좋은 걸 배우면 감동을 전할 사람이 없어서 이 친구에게 전화할 수 밖에 없다.   나는 왜 이 친구에게 전화할까? 잘 들어줘서 그런가보다. 잘 들어주기만 해서도 안된다. 중간중간 추임새도 해야 하고 온전히 들으며 적절한 질문도 해야 한다. 그리고 자기 의견과 느낌도 표현하며 말하는 사람의 기분이 나아지게 해주는 사람이다. 가끔은 문제의 본질을 꿰뚫어 해결의 실마리를 주기도 한다. 그래. 이 친구는 완벽하다.   이 친구는 참 잘 들어준다. 나를 참 좋게 봐주..

나의 이야기 2024.09.09

20231211 적정규모학교 육성 회의... 그리고 닭.

우리 학교는 초등인데 3학급이다. 그래서 불안해하고 있었다. 이런 식으로 아이 안 낳고 싶은 나라라면 10년 안에 문 닫겠다. 그런데 게다가 적정규모학교 육성. 한마디로 통폐합. 헌법에 명시된 교육권은... 최대한 돈을 아껴서... 학교가 멀리 있더라도... 뭐 그런 게 내포되어 있는 것인가. 어느 지역이라도 학교는 있어야 한다. 그래야 그 지역이 죽지 않는다. 학교가 없으면 학교를 보내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으므로 젊은 부부들이 들어가지 않는다. 너무 당연한 게 아닌가. 그냥 다 대도시에 살라는 건가.... "아이 몇 명에 돈 드는 거 싫으니까 잔뜩 데리고 꽉찬 교실에서 28명씩 가르쳐!" 이런 건가. 28명... 집에서 한 둘 키우는 것도 힘들면서... 게다가 요즘 아이들을... 교사들끼리 하는 말...

학교이야기 2023.12.11

20230815 개학 전날 밤

덜 쉰 건가... 학교 가야 하는데 마음이 그저 그렇다. 우울하다는 말을 무력하다는 말을 달고 사는 요즘이라 그런가. ... 더 그래지는 거 같다. 뭘해도 기쁘지가 않네. 제주도 연수 때 태풍을 헤치는 기분은 좋았던 것 같은데... 왜 그랬을까? 좋은 사람이랑 좋은 거 배워서 그런가? 불편한 상황을 뚫고 나다니는 게 좋았나? 내 삶이 너무 평온해서 생기는 건가? 그런가보다. 힘든 걸 하지 않으니 너무 평온하기 때문인가보다. 복에 겨웠다. 이러다 ... 말 하지 말아야지. 힘든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복에 겨운 소리다. 나라 때문에 정신이 없다. 정신 못차리게 이상한 나라. 도망가고 싶은 나라. 죄없는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노동자들이 죽어나가고, 교육노동자들이 죽어나가도... 그저 덮이고 책임지지 않고....

나의 이야기 2023.08.15